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576
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5 (배열 응용) 배열 정렬 listOf() / mutableListOf() val list = listOf(1, 5, 4, 6, 3, 2) val sorted = list.sorted().reversed() println("sorted : $sorted") // sorted : [6, 5, 4, 3, 2, 1] val list2 = mutableListOf(1, 5, 4, 6, 3, 2) list2.sort() list2.reverse() println("sorted : $list2") // sorted : [6, 5, 4, 3, 2, 1] sortedWith val list = listOf("kevin", "steve", "john", "mark", "jadon") val alphabetOrder = list.sort.. 2023. 7. 20.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4 (조건문, 반복문) 조건문 val number = 10 if (number > 0) { println("양수입니다.") } else if (number { // 값1에 대한 처리 } 값2 -> { // 값2에 대한 처리 } else -> { // 모든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때 처리 } } 예제 val day = "월" when (day) { "월", "화", "수", "목", "금" -> pri.. 2023. 7. 20.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3 (함수) 함수 정의 (Function Definition): Kotlin에서 함수를 정의할 때는 fun 키워드를 사용 fun greet() { println("Hello, Kotlin!") } 매개변수 (Parameters): fun greet(name: String) { println("Hello, $name!") } 함수의 반환 자료형 표기 (Function Return Type Annotation): Kotlin에서 함수의 반환 자료형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함수 정의 시 콜론(:) 다음에 반환 자료형을 명시합니다. fun multiply(a: Int, b: Int): Int { return a * b } 함수의 반환 자료형을 추론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환 자료형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. Kotlin 컴파일러는.. 2023. 7. 20.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2 (배열의 모든 것) 개발하면서 배열은 정말 많이 사용됩니다. 코틀린에서 배열 사용 방법에 대해서 작성 해보겠습니다. 배열 선언과 초기화 Kotlin에서 배열을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 // 배열 선언 val numbers: Array // 배열 초기화 numbers = arrayOf(1, 2, 3, 4, 5) numbers[0] = 10 // [10, 2, 3, 4, 5] // List val list: List = listOf(0, 1, 2) print(list) // [0, 1, 2] list[0] = 10 // 오류 발생 ! list.set(0, 10) // 오류 발생 ! Array 는 값 변경 가능 List 는 immutable 이므로 위와 같이 값 변경이 안됨. mutableListOf 로 선언.. 2023. 7. 20.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1 (변수, 자료형) Kotlin은 자바와 100% 상호 운용이 가능한 프로그래밍 언어로, 자바 가상 머신(JVM)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. 변수 (Variables):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, 필요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합니다. var : 일반적으로 사용. 값 변경 가능. val : 선언 시 값 설정. 값 변경 불가능. 참고 변수 명 표기는 다음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 변수는 카멜 케이스를, 클래스는 파스칼 케이스 Pascal Case(파스칼 케이스) : UserName, HelloBryan Camel Case(카멜 케이스) : userName, helloBryan Kebab Case(케밥 케이스) : user-name Snake Case(스네이크 케이스) : user_name, USER_NAME 변수 선언.. 2023. 7. 19.
[Python] 이미지 위에 투명도가 있는 PNG 이미지 합치기 PIL 사용 from PIL import Image # 배경 이미지 열기 background = Image.open('background.png') # 상단에 합칠 이미지 열기 overlay = Image.open('overlay.png') # 이미지 크기 조정 overlay = overlay.resize(background.size) # 이미지 합치기 combined = Image.alpha_composite(background.convert('RGBA'), overlay.convert('RGBA')) # 결과 이미지 저장 combined.save('combined.png') Numpy 사용 import cv2 import numpy as np # 배경 이미지 로드 background = cv2.imr.. 2023. 6. 14.
streamlit pycharm 에서 debug 사용하기 (conda) 로컬 개발환경 설정 (PyCharm) 현재 Python Interpreter 의 위치 확인 PyCharm Setting → Project Python Interpreter /opt/homebrew/anaconda3/envs/LambdaFunction/bin/python 에서 python 제외한 앞부분 /opt/homebrew/anaconda3/envs/LambdaFunction/bin 을 복사 Edit Configuration 에서 Script path 에 위에서 복사한 경로 + /streamlit 입력 Parameters 에 run main.py 입력 (실행하려는 python file name) 소스에 break point 를 찍고 디버그 실행 2023. 5. 23.
[Python] 여러 pdf 파일 하나로 합치기 (feat. PdfMerger) 여러 개의 pdf 파일이 있는데, 이걸 하나로 합쳐야 할 일이 있습니다. PyPDF2 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간단합니다. PyPDF2 pypi 링크 documents 링크 설치 pip install PyPDF2==3.1.0 사용방법 from PyPDF2 import PdfMerger merger = PdfMerger() merge_list = ['pdf_01.pdf', 'pdf_02.pdf'] for pdf_name in merge_list: merger.append(pdf_name) merger.write('PDF_ONE.pdf') merger.close() 응용 특정 폴더에 있는 pdf 들을 하나의 pdf 로 merge folder_path = 'pdf_files_folder' # pdf 파일들이.. 2023. 4. 10.
iframe 에 Jupyter notebook 넣기 Jupyter Notebook 띄워서 iframe 에 넣기 내 서비스 페이지에 Jupyter Notebook 을 iframe으로 붙히려면, 아래와 같이 tag 를 쓰면 됩니다. ..생략.. ..생략.. 하지만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. Jupyter 의 설정을 바꿔줍니다. vi ~/.jupyter/jupyter_notebook_config.py 아래 설정이 있는 부분을 찾습니다. / 누르고 tornado_settings 이력하고 n 을 누르면 검색이 됩니다. jupyter notebook을 포함할 domain, ip 를 아래에 입력합니다. c.NotebookApp.tornado_settings = { 'headers': { 'Content-Security-Policy': 'frame-ancestor.. 2023. 3. 27.
[AWS] Cloud9 으로 Stable-Diffusion WebUI 띄워서 접속하기 AWS Cloud9Stable-DiffusionWebUI Amazon Linux 2 에서만 됩니다. Amazon Linux 2023 은 다른 방법으로 해야하고, 글 작성하면 링크 남기겠습니다~ aws 계정이 있어야합니다. 인스턴스 생성Cloud9을 검색해서 서비스로 이동. Create environment 클릭 Instance 정보를 입력합니다.Instance Type 사양이 너무 작으면 webui 에 필요한 환경 설치 및 실행이 느릴수 있습니다.디스크 용량이 적어도 30GB 정도가 필요합니다. 여유가 있다면 40GB정도가 좋겠네요.(RAM 용량과는 무관합니다. 인스턴스 생성 후 space 를 늘려줄겁니다.) 그리고 페이지 최하단에 Create 버튼을 눌러줍니다.생성된것을 확인하고 Open 을 눌러줍니다.. 2023. 3. 26.
728x90
반응형